참전유공자 배우자 혜택 지자체 지원금 종류
국가를 위해 헌신하신 참전유공자, 그 숭고한 희생을 기억하며, 많은 지자체에서는 사망한 참전유공자의 배우자에게도 ‘예우 수당’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특히 6.25 전쟁 또는 월남전에 참전한 분들의 배우자에게는 지자체별로 매월 일정 금액의 유족 수당이 지급되고 있는데요. 신청 조건, 수당 금액, 지역별 지원 여부까지 지금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 지금 내가 거주 중인 지자체 혜택이 있는지 꼭 확인해보세요!
참전유공자 배우자 수당이란?
‘참전유공자 예우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전국 대부분의 지자체에서는 사망한 참전유공자의 배우자(미망인)에게 매월 일정 금액의 수당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지급 대상: 6.25 또는 월남전 참전유공자의 사망한 유공자의 배우자
- 지급 조건: 지자체 내 1년 이상 거주 또는 주민등록 유지
- 지원 방식: 현금 수당 또는 지역화폐 지급
- 지급 금액: 월 50,000원 내외 (지자체별 상이)
- 중복 여부: 타 보훈 수당 수급자일 경우 중복 불가한 지역 있음
📍 주의: 국비(국가보훈처) 지급이 아닌, 각 지자체 조례에 따른 ‘지방비 수당’입니다.
주요 지자체 혜택 예시
다음은 대표적인 지역별 지원 사례입니다.
① 곡성군 (전라남도)
- 대상: 6.25전쟁 및 월남전 참전유공자 미망인
- 금액: 월 5만 원
- 비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 가능
② 기장군 (부산광역시)
- 시행: 2024년 1월부터 신규 지급 시작
- 자격: 참전유공자 사망 당시 법률상 배우자이며, 1년 이상 기장군 주민등록 유지
- 유의: 타 보훈 명예수당과 중복 지급 불가
③ 인천 중구
- 시행: 2024년 신설
- 금액: 월 5만 원
- 신청: 행정복지센터
④ 춘천시 (강원도)
- 시행: 2023년 1월부터
- 조건: 사망한 참전유공자의 배우자
- 유의: 타 보훈 수당과 중복 불가
📎 각 지역마다 시행 시기와 신청 요건이 다르므로, 현재 거주지 시·군청 또는 행정복지센터에 문의가 필요합니다.
신청 방법 및 필요서류
공통적으로 다음 절차를 따릅니다:
① 신청처
-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또는 해당 지자체 보훈담당 부서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행정복지센터를 찾아보세요🔽
② 필요서류
- 배우자의 신분증
- 가족관계증명서
- 참전유공자 등록사항 확인서(보훈처 발급)
- 신청서 (센터 비치)
📌 일부 지자체는 자동 지급이 아닌, 신청자 본인이 직접 신청해야 수당이 개시됩니다.
Q&A – 자주 묻는 질문
Q1. 국가에서 주는 보훈급여와는 다른 건가요?
A. 네, 지자체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별도의 지방보훈수당입니다.
Q2. 배우자가 두 군데 이상 거주한 경우 어떤 기준이 적용되나요?
A. 현재 주민등록이 있는 지자체의 조례가 우선 적용되며, 이전 지역에서 수급 중이라면 이전 절차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Q3. 남성 참전유공자의 배우자뿐 아니라 여성 유공자의 남편도 대상인가요?
A. 원칙적으로는 ‘법률상 배우자’로 성별 구분 없이 적용되지만, 실제 운영 여부는 지자체 조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Q4. 타 보훈 수당과 함께 받을 수 있나요?
A. 일부 지자체에서는 중복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수당별 대상 중복 여부를 행정복지센터에 반드시 확인하세요.
🌿 마무리하며
국가를 위해 헌신하신 참전유공자의 명예와 그 유가족의 삶을 지키는 작은 시작, 바로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예우의 마음입니다.
혹시 부모님이나 친지 중 해당 대상자가 있다면, 지금 거주 중인 지역의 보훈정책을 꼭 확인해보시고, 놓치지 말고 신청하세요.
📌 나와 우리 가족이 누릴 수 있는 권리, 직접 챙겨야 받을 수 있습니다.
🖱 참전유공자 배우자 수당 지금 확인하세요.
'생활속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개인택시 면허 시세 및 조회 방법 (0) | 2025.07.02 |
---|---|
K패스 다자녀 혜택 및 등록방법, 환급 예시 (0) | 2025.06.20 |
국민은행 번호표 예약 방법, 은행 기다리지 않기 (0) | 2025.06.18 |
국민연금과 노령연금의 차이 (0) | 2025.06.17 |
이재명 대통령 사주 분석 (3) | 2025.06.09 |
댓글